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음파표지
- 등명기
- 해상부표식
- 이스케이프 코드
- 파이썬
- 항로표지
- 파이썬 숫자형
- 안전수역표지
- 등대표
- 포맷 코드
- 특수신호표지
- 문자열 슬라이싱
- 항행통보
- 파이썬으로 할 수 없는 일
- 문자열 포매팅
- 충방전조절기
- 파이썬으로 할 수 있는일
- 형상표지
- 문자열 인덱싱
- 리스트 슬라이싱
- 파이썬 자료향
- 파이썬 문자열 함수
- 유효광도
- 항로표지 종류
- 리스트 관련 함수
- 광달거리
- 사칙연한
- 리스트 인덱싱
- 전파표지
- 광파표지
- Today
- Total
Learning Together
등대표 1 본문
1. 개요 및 갱신방법
등대표는 등화나 음향신호(무신호), 전파신호를 생산하는 육상이나 해상에 설치된 항로표지에 대해 상세히 기술한다. 항로표지에 대한 계략적인 정보는 해도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나 보다 자세한 정보는 등대표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 등대표는 항행통보 2014년 제18호 271항까지 반영되었으며, 이 이후의 변경사항에 대한 등대표의 최신화를 위해서는 매주 간행되는 항행통보를 이용하여 개정한다.
항행통보 제Ⅳ부 사항은 그 주 항행통보에 실린 항로표지의 신설, 변경, 삭제에 관한 사항을 별도로 엮어놓은 표로써 신설되거나 변경된 사항은 항행통보 제Ⅳ부의 표를 필요한 만큼 오려내어 붙이고 삭제된 사항은 등대표에 두 줄을 그어 삭제되었음을 표시한다.
항행통보 제Ⅳ부를 이용하여 등대표 상에 갱신한 정보는 최신의 항로표지 자료를 의미하는 것으로 기존의 동일한 등대표 번호에 대한 사항은 자연히 유효하지 않은 정보가 된다. 또한 오려낸 항행통보 제Ⅳ부의 표는 왼쪽 가장자리만 붙여 아래에 표시된 다른 등대번호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2. 용어정의
항로표지는 등광, 형상, 색채, 음향, 전파 등을 수단으로 항, 만, 해협 그 밖의 대한민국의 내수․영해 및 배타적 경제수역을 항해하는 선박에게 지표가 되는 등대, 등표, 입표, 부표, 안개신호, 전파표지, 특수신호표지 등을 말하며 항로표지의 종류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3.1 번호(국가 및 국제 번호)
가) 국가번호(National number)
등대표의 국가번호는 우리나라에 설치된 항로표지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4자리 숫자 및 소숫점 3자리 번호를 부여한 것이다.
번호를 부여하는 방식은 동해안은 북쪽에서 남쪽방향으로, 남해안은 동쪽에서 서쪽방향으로, 서해안은 남쪽에서 북쪽방향으로 번호를 부여하여 관리하고 있다.
등광․형상․색채․음향에 의한 항로표지 |
1201~1999 2001~2999 3001~3899 |
동 해 안 남 해 안 서 해 안 |
전파에 의한 항로표지 |
4101~4199 4201~4259 4261~4279 4281~4299 4301~4450 4451~4799 |
레이다비콘 DGPS국 항공무선 표지국 LORAN국 무신호 선박자동식별장치(AIS) |
북한연안의 항로표지 |
1001~1199 3901~3999 |
동 해 안 서 해 안 |
나) 국제번호(International number)
국제번호는 국가번호 아래에 이탤릭체의 알파벳과 숫자그룹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 글자의 알파벳 대문자는 항로표지를 관리하는 구역을 의미하며, 우리나라와 인근에 위치한 북서태평양 해역(일본, 러시아 등)은 “M”으로 규정되어 있다. 이 번호는 국제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영국수로국에서 간행하는 등대표에 주어진 번호와 동일하다.
3.2. 명칭(지역, 이름 및 위치)
항로표지가 설치된 지역명칭, 항로표지의 국․영문 이름을 수록한다. 지역명칭은 보통 항로지 상에 표시된 명칭을 이용하나 때에 따라서 항만, 섬, 정박지 등의 명칭을 사용할 수 있다.
항로표지의 명칭은 지방해양수산청에서 부여한 명칭을 준용하여 사용하며 영문명은 로마자 표기법에 따라 작성된다. 현재 우리나라 등대표에는 지역명칭은 반영되지 않고 항로표지의 명칭만 수록되어 있다.
3.3. 위치(지리적 위치)
항로표지의 지리적 위치를 경위도로 표시하며 세계측지계(WGS-84) 좌표계로 표시된다. 항로표지의 위치를 해도상에서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도(°)와 분(′)으로 표시되며, 분 단위는 소수 2자리까지 표시한다. 경도는 국제자오선(그리니치)을 기준으로 표시되며 그 위치는 개략적인 위치이다.
3.4. 등질(등화의 등색, 주기)
항로표지의 등화와 일반의 등화에 대한 식별을 쉽게 하는 동시에 부근에 있는 다른 항로표지 등화와의 오인을 피하기 위해 정해진 등화를 발사하는 상태를 등질이라 하고 등색과 등화의 주기를 합하여 넓은 의미로 등질이라 한다.
등질은 항로표지를 식별하기 위해 중요한 요소가 되는 것으로 기술의 발달에 따라 등화의 점멸방식을 사용하고, 섬광․명암광 등의 리듬을 사용하고 있는 것 외에 색광이 쓰이고 있다.
등화에서 사용되는 색깔은 일반적으로 백색(W), 홍색(R), 녹색(G), 황색(Y)의 4종류를 사용한다. 등색은 대기의 상황(안개, 결빙 등)에 따라 백광이 홍광처럼 보이거나 색이 변해 보일 때가 있고 또한 원거리에서 볼 때에는 색의 식별이 곤란할 때도 있으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다른 색의 등화의 한계선 양측에는 등색이 분명하지 않은 부분이 있으므로 분호가 있는 항로표지에서는 단순히 등색에 의존하지 말고 그 방위도 확인해야 한다.
등화의 주기는 한 위상으로부터 다음에 오는 동일한 위상까지의 시간이며, 등화의 주기, 섬광, 명암 등의 시간은 일반적으로 계획상의 값이므로 정밀하게 조사하면 실제와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또 섬광의 존속시간은 원거리로부터 볼 때나 안개가 끼었을 경우에는 실제보다 짧게 보인다. 다음 표는 다양한 등화의 등질에 대해 설명한다.
'항로표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로표지 요건 및 해상부표식 (0) | 2019.11.04 |
---|---|
항로표지 종류 (0) | 2019.11.04 |
항로표지용 LED / 충방전조절기 표준용어 (0) | 2019.11.01 |
항로표지 용어 정리 1 (0) | 2019.10.31 |
항로표지 도식 (0) | 2019.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