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포맷 코드
- 리스트 인덱싱
- 등명기
- 항로표지
- 유효광도
- 문자열 포매팅
- 파이썬 문자열 함수
- 음파표지
- 사칙연한
- 해상부표식
- 등대표
- 리스트 관련 함수
- 파이썬 숫자형
- 형상표지
- 광파표지
- 파이썬 자료향
- 파이썬으로 할 수 없는 일
- 특수신호표지
- 파이썬으로 할 수 있는일
- 항로표지 종류
- 광달거리
- 문자열 인덱싱
- 문자열 슬라이싱
- 전파표지
- 항행통보
- 안전수역표지
- 이스케이프 코드
- 리스트 슬라이싱
- 충방전조절기
- 파이썬
- Today
- Total
목록항행통보 (3)
Learning Together

항행통보 항 번호 앞에 ★표시는 통보사항의 출처가 대한민국인 것을 의미한다. 항행통보 항 번호 뒤에 표시한 (T)는 일시정보, (P)는 예고정보를 뜻하며, 항 번호 뒤에 ※가 있는 것은 이전에 일시정보 또는 예고정보로 통보된 적이 있는 것을 의미한다. 경위도 위치는 세계측지계(WGS-84)좌표로 표기한다. 침로와 방위는 진방위로, 시계방향 000 ° ~ 359 °로 표시한다; 명호나 지도선의 방위는 해상에서 목표물을 바라본 방위로 표시한다. 시각은 4자리 숫자(0000~2400)로 표시하며, 별도 표시가 없는 것은 한국 표준시(KST)이다. 서지번호 앞에 †가 있는 것은 개정사항이 별지에 있는 것을 의미한다. 해도번호 뒤에 붙은 대괄호는 이전에 마지막으로 통보한 항행통보의 연도와 항 번호를 표시한 것이 ..

항행통보 특징 ? 1) 해도 간행 후 수로.연안.항만 등의 상황은 계속적으로 변화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변화는 안전 항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2) 변동사항을 신속.정확하게 선박에 알려 안전 항해와 해난사고를 예방 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함 (수로도서지 이용자는 변경된 사항을 보정할 의무가 있음) 3) 수로도서지는 최신 상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정기적으로 항행통보를 주 1회 (매주금요일)에 간행하고 인터넷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제공함 4) 항행통보사항 중 긴급을 요하는 사항 즉, 등대소등. 항로변경. 해상사격훈련. 새로운 암초발견. 해적행위 등 기타 항로상 장애물등을 해사관계 기관, 방송국, NAVTEX(해상교통문자방송)운영실에 통보하여 항해자들에게 보다 신속히 관련정보를 전파하는 항행경보제도를 시행하..

항행통보란 ? http://www.khoa.go.kr/kcom/cnt/selectContentsPage.do?cntId=31302010 수로도서지(해도, 수로서지)는 간행 후 항로, 연안, 항만 등의 상황은 끊임 없이 자연적으로나 인위적으로 변하기 마련이다. 이러한 변화는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안전항해에 영향을 미치므로 이와 같은 변동 사항을 신속·정확히 선박에 알려안전항해와 해난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며, 수로도서지 이용자에 대하여는 변경된 사항을 보정하여 수로도서지를 최신상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항행통보를 주1회 간행하고 인터넷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즉 항행통보는 선박침몰사고, 수중암초, 항로 및 항로표지 변경사항 등 항해에 필요한 경고 및 ..